본문 바로가기

ETC/Inside out

논어 학이편 제 14장 '군자는 먹음에 배부름을 구하지 아니한다'

논어 14장


(子曰, 君子食無求飽, 居無求安, 敏於事而愼於言, 就有道而正焉, 可謂好學也已)


공자께서 말씀 하시길, 

군자는 먹음에 배부름을 구하지 아니하고,

거함에 편안함을 구하지 아니하며,

일에는 민첩하고 말에는 삼가할 줄 알며,

항상 도가 있는 자에게 나아가 자신을 바르게 한다.


'식탐에 빠져서 먹는 것에 욕심을 부리지 않고,

 살고 있는 곳의 편안함에 너무 집착하지 않으며,

 자신이 해야 할 일을 민첩하게 실천하고,

 말을 항상 신중히 하면서 과장되거나 거짓된 말을 하지 않도록 노력하고,

 항상 자신보다 나은 사람이 있으면 그에게 배워서 자신을 바르게 하는 데 도움 받는 행동을 하는 것'



君子, 食無求飽. 군자는 먹음에 배부름을 구하지 않는다.

- 不時不食. (야식 등) 때에 맞지 않는 것은 드시지 않으셨다.



제가 논어에서 가장 좋아하는 말은 바로 '호학(好學)' 입니다.

배우기를 좋아한다는 공자님의 말씀은 제가 인생을 살아가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말씀입니다.


하지만 곰곰이 되돌아보면 과연 제가 배우기를 좋아했는지 반성하게 됩니다.


책 읽기를 좋아하고,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열망하는 것만이 '호학'하는 자세가 아님을 공자님이

명확하게 말씀하고 계십니다.


먹는 것의 즐거움에 빠져 한 번 먹기 시작하면 그만 둘 줄 모르고 배부를 때까지 먹으면서 살이 찌고,

조금이라도 편하게 살기 위하여 좋은 기계 가구 등을 구입하는데 욕심을 부리며,

해야 할 일을 민첩하게 실천하기 보다는 말이 앞서는 경우가 많고,

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는 배울 점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면서

과연 제가 배우는 것을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.


학이편 제 14장에서 공자님이 말씀하신 바를 더욱 마음 속에 담고 실천하기 위하여 노력해야겠습니다.


좋은 사람(군자)이 되고, 배우기를 좋아하는(호학) 삶의 태도를 갖는다는 것은 

결코 머리속의 지식과 말로 이루어질 수 없는 것임을, 

끊임없는 실천과 노력하는 과정 속에서 얻게 되는 소중한 것임을 되새겨 봅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