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Miscellaneous

DLNA에 대한 정리

세계 홈 네트워크 사용화를 선도해 나갈 새로운 공식적 협력체.
소니가 2003년 6월 출범한 DHWG(Digital Home Working Group)의 명칭을 변경, 새롭게 출범한 것.

DLNA(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)

상호 호환이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하여 업계 간 컨버전스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함.

IP, HTTP, UPnP, Wi-Fi 등 업계 표준을 기반으로 업체의 가이드라인 도입 촉진.
DLNA의 가이드 라인에 따라 설계된 제품들은 음악, 사진, 비디오 등의 미디어 콘텐츠를
홈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게 된다.

홈 네트워크 장치

  • DMS (디지털 미디어 서버)
  • DMP (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)
  • DMR (디지털 미디어 렌더러)
  • DMC (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)
  • DMPr (디지털 미디어 프린터)

모바일 휴대 장치

  • M-DMS (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서버)
  • M-DMP (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)
  • M-DMU (모바일 디지털 미디어 업로더)
  • M-DMD (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다운로더)
  • M-DMC (모바일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)

홈 인프라 장치

  • M-NCF (모바일 네트워크 연결 기능)
  • MIU (미디어 상호 운용 장치)

※ UPNP (Universal Plug and Play)

- PC, 주변장치, 지능형 가전제품, 무선 장비 등과 같은 장치들을 네트워크에 접속시켰을 때,
  인터넷과 웹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서로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주는 표준이다.

- 사용자가 어떤 장치를 네트워크에 추가하면 그 장치는 스스로 구성을 완료하며, TCP/IP주소를 받고,
   다른 장치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인터넷 HTTP에 기반을 둔 발견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된다.

- DLNA의 기반이 되는 홈네트워크 미들웨어 및 프로토콜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미디어 컨텐츠 공유 및 재생

1. 전통적인 미디어 공유

USB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사진을 PC나 TV에서 보거나, RGB 케이블이나 S-Video 케이블을
PC<->TV와 연결하여 PC에 저장되어 있는 영화를 감상하는 방식 등 실제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서
서로 다른 기기간의 미디어 컨텐츠를 공유한다.

2.. DLNA 미디어 공유

Ethernet, Wi-Fi, Bluetooth와 같은 네트워크 기능을 갖춘 기기들간에 같은 IP대역에 있는 기기들이
서로 물리적 접속이 아닌 네트워크를 통해서 컨텐츠를 공유한다.
PC에 저장되어 있는 영화를 LAN선이 연결 된 TV에서 쉽게 감상할 수 있으며, Wi-Fi가 지원되는 스마트폰
이나 카메라에서 찍은 사진을 PC나 TV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쉽게 감상할 수 있고, 저장할 수 있다.

3. DLNA에서 지원 가능한 미디어 포멧 (괄호안의 포맷은 선택사항임)

  • Image : JPEG (GIF, TIFF, PNG 등)
  • Music : LPCM (AAC, AC-3, ATRAC3plus, MP3, WMA9 등)
  • Video : MPEG2 (MPEG1, MPEG4, WMV9, AVI 등)

위의 미디어 포맷 이외에 각 제조사별로 지원 가능한 형식이 따로 있는 경우도 있고, 비디오의 경우 해상도
및 파일 크이에 따라 적용 가능한 항목은 각 기기의 개별 기능을 확인해야 한다.

4. DLNA 기기 분류 (DLAN Classes)

처음에 DLNA에서는 Media ServerMedia Player로 구분하였으나, 다양한 기기의 등장과 각 개별 기능을
세분화하여 크게 Home Network Device(NHD)Mobile Handheld Devices(MHD)로 구분하였고,
NHD와 MHD의 상호접속을 위해 Home Interoperability Devices(MIU, M-NCF)를 추가하였다.

NHD와 MHD사이의 구분은 지원 되는 미디어 포맷과 네트워크 접속방식의 차이로 구분하였으나 디지털 기기의 발전과 둘 사이의 구분이 애매해지는 경우가 많다.

대략적으로 공통으로 정의되어 있는 기기의 분류는 아래와 같다. DMS, DMC, DMR, DMP의 특징과 상호 관계 정도만 이해하면 충분 할 것으로 판단 된다.

5. Home Network Device

Digital Media Server (MDS)
실제 공유할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디바이스. 컨텐츠를 보관하고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시 해당 컨텐츠
내역을 배포/전송하여 다른 디바이스들이 이를 사용할 수 있게 함.
EX) PC, Set-Top-Box, 홈씨어터, PVR, NAS 등

Digital Media Controller (DMC)
Media Server가 배포한 컨텐츠 리스트를 찾고, 이를 실행할 수 있는 다른 기기(Render)와 연결한다.
기본적으로 Media Server와 Media Renderer사이에서 연결을 설정하고 컨텐츠 재생과 관련한 동작을 제어 함.
EX) Inteligent 리모콘 등

Digital Media Renderer (DMR)
Media Controller에 의해 Media Server와 연결 되며 Server로부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.
EX) TV, Audio/Video리시버, 스피커 등

Digital Media Player (DMP)
Media Server가 배포한 컨텐츠 리스트를 찾아서 컨텐르를 선택하고 이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.
EX) TV, Game Console 등

Digital Media Printer (DMPr)
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진을 인화 할 목적으로 정의되었으나, 추후 다른 포맷에 대해서도 이용이 가능하도록
확장 되었음. PC나 카메라에 있는 사진을 DLNA를 지원하는 프린터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
있도록 해주는 장치.
EX) 포토프린터, USB로 연결된 프린터를 사용 가능한 PC응용프로그램 등

참고사이트 : http://netfrontlife.blogspot.kr/2011/02/dlna-1-dlna.html?spref=bl



반응형

'Miscellaneou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iOS와 블루투스 프로그래밍  (2) 2013.02.06
UART란 무엇인가?  (0) 2013.01.14
Router(라우터)란 ?  (0) 2013.01.08
스마트TV 차단? 더 이상 애국심 이용마라.  (0) 2012.06.15
서버란?  (0) 2012.05.21